[종소] 해외체류로 아동수당을 지급받지 못하는 거주자의 자녀세액공제 여부
사전-2020-법령해석소득-0127 [법령해석과-391]
생산일자 : 2020.02.07.
관련 법령
소득세법 제59조의2
요지
만 7세 미만의 취학 자녀와 만 7세 이상의 자녀를 기본공제대상자로 하는 거주자는 2019년 귀속 소득법§59의2①에 따른 자녀세액공제를 할 수 있는 것임
답변내용
거주자의 만 7세 미만의 자녀가 해외 체류하면서 우리나라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교육기관에 취학한 경우 거주자가 2019년 귀속 종합소득세액을 계산할 때(연말정산 포함) 해당 자녀에 대해 「소득세법」 제59조의2 제1항에 따른 자녀세액공제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나, 만 7세 미만의 미취학 자녀에 대해서는 자녀세액공제를 적용할 수 없는 것입니다.
상세내용
1. 사실관계
○질의인은 국내법인의 직원으로서 해외에 파견되어 근무중임
- 2019.5월 파견 시 가족 동반하여 외국으로 출국하여 생활중임
- 질의인은 2014.8월 생 자녀(첫째)와 2016.8월 생 자녀(둘째)가 있고 첫째는 2019.8월부터 만 5세에 현지 국제학교에 취학중임
- 질의인은 국내에서 아동수당을 지급받아 왔으나 해외체류에 따라 아동수당의 지급이 정지됨
※ 국외 체류기간이 90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그 사유가 발생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부터 그 사유가 소멸한 날이 속하는 달까지 아동수당의 지급을 정지함(아동수당법§13)
2. 질의내용
○(질의1) 아동수당을 받지 못하는 만 5세의 자녀가 해외에서 취학한 경우 자녀세액공제 가능한지 여부
○(질의2) 국내에서 아동수당을 받던 중 해외 출국하여 아동수당을 지급받지 못하는 경우 자녀세액공제 가능한지 여부
3. 관련법령
○소득세법 제59조의2 【자녀세액공제】
①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기본공제대상자에 해당하는 자녀(입양자 및 위탁아동을 포함하며, 이하 이 조에서 "공제대상자녀"라 한다)로서 7세 이상의 사람(7세 미만의 취학아동을 포함한다)에 대해서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금액을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한다. <개정 2015.5.13, 2017.12.19, 2018.12.31>
1. 1명인 경우: 연 15만원
2. 2명인 경우: 연 30만원
3. 3명 이상인 경우: 연 30만원과 2명을 초과하는 1명당 연 30만원을 합한 금액
○아동수당법 제4조 【아동수당의 지급 대상 및 지급액】
① 아동수당은 7세 미만의 아동에게 매월 10만원을 지급한다.
○아동수당법 제13조 【아동수당의 지급 정지】
①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부터 그 사유가 소멸한 날이 속하는 달까지 아동수당의 지급을 정지한다.
1. 수급아동의 국외 체류기간이 90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. 이 경우 아동수당의 지급 신청 당시부터 국외에 체류 중인 수급아동의 국외 체류기간은 해당 아동이 국외로 출국한 날(해당 아동이 국외에서 출생한 경우에는 그 아동이 출생한 날을 말한다)부터 기산(起算)한다.
출처 : 국세법령정보시스템
*****유사문서 10건*****
-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손자ㆍ손녀는 자녀세액공제 대상 자녀에 해당하지 않음 (원천세과-210, 2014.06.11.)
- 근로자의 배우자와 자녀가 외국에 이주한 경우 인적공제 가능 여부 (법인46013-48, 1999.01.06.)
- 기본공제대상자가 아닌 형제를 위한 교육비지급액의 연말정산시 공제가능 여부 (법인46013-30, 1997.01.08.)
- 실제 동거, 부양하지 않는 부모에 대하여 부양가족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 (법인46013-166, 1997.01.18.)
- 소득이 있는 부모 및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와 동거하는 동생의 교육비 공제 (원천세과-634, 2009.07.22.)
- 다자녀 추가공제 적용 시 기본공제대상자에 해당하는 자녀의 의미 (서면인터넷방문상담1팀-389, 2008.03.21.)
- 외국인거주자의 본국에 있는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소득공제 해당 여부 (법인46013-1617, 1995.06.14.)
- 국내에서 계속 근무하는 근로자가 자녀의 학업을 위해 배우자와 자녀만 외국에 이주시킨 경우 국외교육비공제를 받을 수 없음 (법규소득2011-0537, 2011.12.29.)
- 기본공제대상자에 해당하는 자녀가 아닌 경우에는 다자녀추가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음 (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-0100, 2008.05.14.)
- 국외교육비공제 (서면인터넷방문상담1팀-123, 2007.01.22.)
#자녀 #공제 #거주 #세액 #해외 #체류 #아동 #수당 #지급 #미만 #취학